[CSS] 프로퍼티 값의 단위
·
Language/CSS
CSS 프로퍼티에는 키워드, 크기 단위, 색상 표현 단위 등의 특정 단위를 갖는 값을 지정한다. 키워드 각 프로퍼티에 따라 사용할 수 있는 키워드가 존재한다. 예를 들어 display 프로퍼티의 값으로 사용할 수 있는 키워드는 block, inline, inline-block, none이 있다. 크기 단위 cm, mm, inch 등의 단위도 존재하나 CSS에서 사용하는 대표적인 크기 단위는 px, em, %이다. px는 절대값이고 em, %는 상대값이다. 대부분 브라우저의 폰트 사이즈 기본값은 16px, 1em, 100%이다. 프로퍼티 값이 0인 경우, 단위를 생략할 수 있다. px px은 픽셀(화소) 단위이다. 1px은 화소 1개 크기를 의미한다. 22인치 LCD 모니터의 경우 해상도가 1680*105..
[CSS] 셀렉터(Selector)
·
Language/CSS
CSS(Cascading Style Sheets)는 HTML요소(Element)의 style(design, layout etc)을 정의한다. 그리하려면 HTML이 존재하여야 하고 또한 style을 적용하고자하는 HTML 요소를 특정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 셀렉터(Selector)이다. 즉, style을 적용하고자하는 HTML 요소를 셀렉터로 특정하고 선택된 요소에 스타일을 정의하는 것이다. Hello World! This paragraph is styled with CSS. 복수개의 셀렉터를 연속하여 지정할 수 있으며 쉼표( , )로 구분한다. h1, p { color: red; } 전체 셀렉터(Universal Selector) 패턴 Description * HTML 문서 내의 ..
기술 면접 정리
·
A/공부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CSS] CSS 기본 문법
·
Language/CSS
CSS(Cascading Style Sheets)는 HTML이나 XML과 같은 구조화 된 문서(Document)를 화면, 종이 등에 어떻게 렌더링할 것인지를 정의하기 위한 언어이다. 즉, CSS는 HTML의 각 요소(Element)의 style(design, layout etc)을 정의하여 화면(Screen) 등에 어떻게 렌더링하면 되는지 브라우저에게 설명하기 위한 언어이다. HTML5 이전 버전의 HTML에는 style을 컨트롤할 수 있는 태그(font, center)가 존재하여 CSS가 없이도 어느 정도의 스타일 표현이 가능하였으나 정보와 구조를 담당하는 HTML의 본연의 역할과 동떨어진 기능까지 추가됨으로서 복잡하고 혼란스러운 언어가 되어 버렸다. HTML5에서는 HTML은 정보와 구조화, CSS는..
[HTML] 웹페이지의 레이아웃을 구성하기 위해 공간을 분할하는 태그
·
Language/HTML
웹페이지의 레이아웃을 구성하기 위해서 공간을 분할할 필요가 있다. 공간을 분할할 수 있는 태그는 div, span, table 등이 있는데, 과거에는 table 태그를 사용하여 레이아웃을 구성하기도 하였으나 모던 웹에서는 주로 div를 사용하여 레이아웃을 구성한다. 그런데 div 태그는 의미론적으로 어떠한 의미도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에 아래와 같이 HTML5에서 새롭게 추가된 시맨틱 태그를 사용하는 것이 더 나은 방법이다. tag Description header 헤더를 의미한다 nav 내비게이션을 의미한다 aside 사이드에 위치하는 공간을 의미한다 section 본문의 여러 내용(article)을 포함하는 공간을 의미한다 article 분문의 주내용이 들어가는 공간을 의미한다 footer 푸터를 의..
[HTML] form
·
Language/HTML
form form 태그는 사용자가 입력한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해 사용되며 input, textarea, button, select, checkbox, radio button, submit button 등의 입력 양식 태그를 포함할 수 있다. ... form elements (input, checkbox, radio button, submit button...) ... attribute Value Description action URL 입력 데이터(form data)가 전송될 URL 지정 method get / post 입력 데이터(form data) 전달 방식 지정 GET과 POST는 HTTP 프로토콜을 이용해서 사용자 입력 데이터를 서버에 전달하는 방식을 나타내며 HTTP request method라..